반응형 마음공부/끌어당김 법칙_시크릿15 알면서도 잘 안 되는 '가진 것에 감사하기' 감사하다는 걸 머리로는 잘 알고 있더라도 그 감사함이 여전히 머리 근처만 맴돌아 가슴에 다다르지 못해 절실히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생각하고 느끼는 감정은 모두 에너지이자 진동으로 비슷한 것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그래서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긍정적인 일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하지만 몸이 지치고 피곤할 때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는 게 쉽지 않다. 하는 일마다 잘 안 풀리고 되는 일이 없을 땐 화가 많이 난다. 화나는 감정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차리면서 다시 마음을 잡아줘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가진 것에 감사하기'를 의식적으로 떠올려야 한다.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데...' 하며 억지로 그런 마음을 낼수록 오히려 저항이 거세지기 때문에 반감이 올라올 수도 있다. .. 2022. 11. 22. 생각날 때마다, 사랑해 '끌어당김을 더 잘 하고 싶은데 왜 자꾸 저항이 일어나는 걸까요?' 하는 분들은 무의식을 먼저 점검해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달엔 매출이 지난 달 보다 2배 더 늘었습니다. 감사합니다'라고 열심히 말하고 이미지를 떠올리고 해도 순간순간 '내 주제에 무슨......', '주문 들어오는 것도 거기서 거긴데 무슨 수로 매출이 늘어나겠어......' 하는 생각이 올라온다면 잠시 끌어당김을 내려 놓고 무의식에 낀 때를 벗겨내는 작업부터 하는 게 좋습니다. 무의식을 어떻게 정화하란 말이냐...라고 하실지도 모르겠네요. 방법은 다양합니다. 호오포노포노도 있겠고요. 저는 호오포노포노도 합니다만, 우리 안에 깃든 신성 자체는 순수한 사랑 그 자체라는 점에서 '사랑해'를 무한 반복합니다. 물론 처음에는 낯 간지.. 2021. 7. 22. 긍정적인 단어로 무의식 정화하기 우리 마음은 무한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엄경에서 말하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인데요. 결국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의미로 우리 마음이 가진 무한한 창조의 능력을 어떻게 하면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을까 또 이를 함께 공유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마음의 무한한 창조력에 한계를 두지 않으려면 우선 무의식에 낀 때부터 닦아내고 켜켜이 쌓인 쓰레기부터 치우는 게 우선일 겁니다. 저는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이동할 때 핸드폰을 멀리 합니다. 대신 떠올릴 수 있는 긍정적인 단어들을 되새기면서 그 단어들의 느낌을 온전히 느끼며 그 단어와 관련한 경험을 떠올리는 편입니다. 여러분은 긍정적인 단어들 중 어떤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제가 여기에 무작위로 한 번 적어.. 2021. 5. 13. 가진 것에 감사하기 우리가 끌어당김의 법칙을 통해서 원하는 것을 끌어당기면서 놓치고 있는 게 있습니다. 그건 바로 ‘가진 것에 감사하기’입니다. 가진 것에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을 때 진심으로 감사할 줄 압니다. 너무 많이 들어서 이제는 지겨울 법도 하지만, 여전히 감사한 마음을 말로 표현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이 다섯 글자가 가진 힘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 우리가 지금 마음껏 공짜로 누리는 것들을 떠올려 보세요. 어디서든 숨 쉴 수 있는 산소, 시원하게 불어오는 바람, 모든 생명을 살리는 햇빛, 그리고 이 모두가 조화를 이룬 자연까지 우리는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것들을 무한하게 누리며 살고 있으면서도 감사한 마음을 잊고 사는 것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가진 것에 감.. 2020. 11. 19.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