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음공부/내면의 나로 향하는 여정47

지구의 인구 감소, 어떻게 보시나요 이번 한 주도 다들 잘 보내셨는지 모르겠어요. 일요일이 되면 늘 블로그에 올릴 글을 쓰려고 컴퓨터 앞에 앉습니다. 요즘 저는 이런저런 생각을 많이 합니다. 인구소멸, 빈집, 부동산, 인공지능... 뭐 이런 것들인데요. 하나의 요소는 다른 요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렇게 연쇄반응을 일으키기에 어느 것 하나만으로 콕 집어서 현상을 설명한다는 건 부분을 보고 전체를 말하는 것과 다를 바 없을 거예요. 지금 지구상 여러 나라에서 공통현상처럼 발생하는 현상은 아마도 인구감소가 아닐까 해요. 주목해야 할 기술인 AI도 해가 다르게 놀라운 속도로 인간의 삶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듯 해요.     UN 경제사회국(DESA)에서 발간한 ‘2024년 세계인구전망 보고서’를 보면 이번 세기 후반에 이르러 세계 총 인구.. 2024. 11. 17.
삶은 뭘까요 여러분에게 삶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삶은 뭘까요? 단순히 살아가는 것 그 이상일 수도 있고 태어났으니 의식의 흐름대로 살아가는 것일 수도 있고요. 인간의 관점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는 칼로 무 자르듯 분명합니다. 그건 우리가 단순히 우리 스스로를 인간으로 한정지을 때 그렇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각자가 입고 있는 육체가 우리의 본질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으며 그럴 때 삶과 죽음의 경계는 사라집니다.     명상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명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뭘까요?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깨달음 이후에는 삶이 순탄하고 평화로워질까요? 우리가 순간순간 깨어있다면 이미 우리는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고 한다면요? 깨닫고 나서 ‘난 깨달음을 얻었는데 저 사람들은 아직 멀었구만’ 하는 식으로 오히려 편견에.. 2024. 11. 3.
그저 존재할 뿐 여러분은 지금 이 순간에도 깨어 있으신가요? ‘현존’을 이야기한 사람들은 많았는데요. 무아지경이라는 말 들어보셨을 거에요. 무아지경은 정신이 한곳에 집중해 있어 스스로를 잊고 있는 상태인데요. 이 경지가 바로 순수하게 존재 자체로 있는 상태 곧, 신의 경지가 아닐까 해요. 에고로서의 스스로를 잊은 채 ‘있음’으로 존재하고 있는 그 순간이 우리가 신이 되는 순간이 아닐까요. 마음 공부를 하다보면 영적 깨달음에 대한 이야기를 정말 많이 듣게 되는데요. 영적 깨달음은 뭔가요? 뭘 깨달아야 한다는 걸까요? 오늘은 에크하르트 톨레가 쓴 책으로 류시화님이 번역하신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중 영적 깨달음에 대한 부분을 공유해보고자 해요. 영적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자신이 영혼을 지.. 2024. 10. 27.
삶을 대하는 태도, 얼마나 진심인가요? 주어진 삶을 대하는 태도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누군가는 시간을 분 단위로 쪼개서 열심히 살아가는가 하면 또 다른 누군가는 겨우 하루하루를 버텨내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을테고요. 누가 더 잘 하고 있다가 아니라 서로 다른, 극단적인 예시를 들었지만 둘 다 삶을 대하는 태도는 진심이라고 봐요.     저는 영화 보는 걸 좋아해요. 영화를 보면 전개되는 이야기에 집중하면서도 더 관심 가는 게 있어요. 배우들이 연기를 펼치는 공간 뒤로 보이는 배경과 소품들이에요. 훌륭한 연기로 한 장면 한 장면 매듭짓는 배우들의 노력은 관객들에게 직접 보이고 박수받을 기회도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에 못지 않게 스텝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의 노력에도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어요.  미션 임파서블이나 007 시리즈를 좋아해서 가끔씩 보.. 2024. 9.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