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음공부159

지구의 인구 감소, 어떻게 보시나요 이번 한 주도 다들 잘 보내셨는지 모르겠어요. 일요일이 되면 늘 블로그에 올릴 글을 쓰려고 컴퓨터 앞에 앉습니다. 요즘 저는 이런저런 생각을 많이 합니다. 인구소멸, 빈집, 부동산, 인공지능... 뭐 이런 것들인데요. 하나의 요소는 다른 요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렇게 연쇄반응을 일으키기에 어느 것 하나만으로 콕 집어서 현상을 설명한다는 건 부분을 보고 전체를 말하는 것과 다를 바 없을 거예요. 지금 지구상 여러 나라에서 공통현상처럼 발생하는 현상은 아마도 인구감소가 아닐까 해요. 주목해야 할 기술인 AI도 해가 다르게 놀라운 속도로 인간의 삶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듯 해요.     UN 경제사회국(DESA)에서 발간한 ‘2024년 세계인구전망 보고서’를 보면 이번 세기 후반에 이르러 세계 총 인구.. 2024. 11. 17.
한 주 동안 와 닿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여러분에게 이번 한 주 동안 와 닿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우리가 순간에 집중할 때 더 잘 보게 되거나 듣게 되는 게 있는데요. 우리의 시선이 머무는 곳에서 보게 되는 글귀, 무심코 귀에 흘러 들어오는 말이나 단어는 수호천사가 우리에게 보내주는 메시지입니다. 수호천사나 보호령의 존재를 믿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미리 표시해 둔 이정표 정도로 여겨도 좋습니다.     지난 금요일에 ‘레드 원’이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누구나 어릴 적에 크리스마스 이브가 되면 산타클로스로부터 원하는 선물을 받는 기대를 가지고 잠을 청하셨을 거에요. 이 영화는 크리스마스에 전 세계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주는 산타클로스를 구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요. 영화를 보는 과정에서 몇몇 대사가 .. 2024. 11. 10.
삶은 뭘까요 여러분에게 삶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삶은 뭘까요? 단순히 살아가는 것 그 이상일 수도 있고 태어났으니 의식의 흐름대로 살아가는 것일 수도 있고요. 인간의 관점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는 칼로 무 자르듯 분명합니다. 그건 우리가 단순히 우리 스스로를 인간으로 한정지을 때 그렇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각자가 입고 있는 육체가 우리의 본질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으며 그럴 때 삶과 죽음의 경계는 사라집니다.     명상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명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뭘까요?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깨달음 이후에는 삶이 순탄하고 평화로워질까요? 우리가 순간순간 깨어있다면 이미 우리는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고 한다면요? 깨닫고 나서 ‘난 깨달음을 얻었는데 저 사람들은 아직 멀었구만’ 하는 식으로 오히려 편견에.. 2024. 11. 3.
그저 존재할 뿐 여러분은 지금 이 순간에도 깨어 있으신가요? ‘현존’을 이야기한 사람들은 많았는데요. 무아지경이라는 말 들어보셨을 거에요. 무아지경은 정신이 한곳에 집중해 있어 스스로를 잊고 있는 상태인데요. 이 경지가 바로 순수하게 존재 자체로 있는 상태 곧, 신의 경지가 아닐까 해요. 에고로서의 스스로를 잊은 채 ‘있음’으로 존재하고 있는 그 순간이 우리가 신이 되는 순간이 아닐까요. 마음 공부를 하다보면 영적 깨달음에 대한 이야기를 정말 많이 듣게 되는데요. 영적 깨달음은 뭔가요? 뭘 깨달아야 한다는 걸까요? 오늘은 에크하르트 톨레가 쓴 책으로 류시화님이 번역하신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중 영적 깨달음에 대한 부분을 공유해보고자 해요. 영적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자신이 영혼을 지.. 2024. 10. 27.
728x90
반응형